우선 1-3월에 매수를 하신 분들은 아쉽지만
나중에 큰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우선 딱 봐도 2월에 매수하신 분들은
3월 거래금액 기준을 봐더라도 한 달 만에
-10% 손실을 보셨습니다.
거래량 다시 급감 모드인 4월에서 평균 거래
금액은 10억 중반 대입니다.
아직 집계 기간이 한 달 남았지만 많아야 11억
될 것 같습니다.
즉, 4월 거래급감 기간이 반년 정도 지속되고
지금 아파트 가격에서 평균 20-30% 하락이
되면 저는 빚 최대한 적게 하고 매수해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https://cocas95.tistory.com/m/1249
(2025)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 24년 4분기->다시 157로 상승->어떻게 서든지 서울 아파트 가격 하락
우선 역대 부담지수 수치를 아래에 확인을해보겠습니다.2007년 1602008년 1572009년 1502010년 1312011년 119 2012년 104 2013년 90 2014년 91 2015년 93 2016년 1022017년 1162018년 1332019년 1262020년 1532021년 1992022년 198202
cocas95.tistory.com
주택구입부담지수 수치를 보더라도 대략
2019년 중반 정도는 대략 떨어져야 매수
해볼까? 생각하셔도 됩니다.
즉, 역사상 최고점인 2021년 가격에서
40% 정도 빠지면 떡방 가셔서 좋은 매물
탐색하셔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 부동산 시장 바로미터 대단지
아파트 가격을 보니깐.. 참 문제가 많네요..
아래 은마, 엘스, 잠실주공 5단지를 보시면



세훈 시장님의 토허제 해지로 한번 더 가격을
올초에 튀겼습니다.
혹시 위 아파트처럼 2021년 가격보더 더
상승했다면 반토막은 기본으로 가져가시면서
아파트 매수를 하셔야 그나마 손해를
안 볼 것 같습니다.
아직도 똥인지 된장인지 모르시고 지금 혹시
더 오를지 몰라서 매수하시려고 하는 분들은
조심하시면서 때를 기다리면서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take home message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
기준 8억대가 일반적이면 매수 들어간다.
단, 강남 3구처럼 토허제 해지 이후 가격이
더 급등한 아파트는 고점대비 반토막이
되면 들어간다.
limitation
정부 및 정치권들이 그렇게 가격 하락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고 온갖 수단을 동원해서
가격 하락방어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