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아파트 (전세)

(25)
(2025) 전세가격 상승의 민낯->반전세,월세 찾아 떠난다?->서울 전세가는 하락중인데요?->전세대출 축소->전세가 하락은 더 가속화 예상 오늘 2시에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한번 생각을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어제 올린 글과 연장선상에 글을 써보겠습니다.https://cocas95.tistory.com/m/1201전세대출축소->월세경합증가->월세가격상승->전세시장복" data-ke-align="alignCenter" data-og-description="다음은 매매가 상승이라고 쓰고 싶은데 결국그런데 그렇게 하면 자기 모순에 빠지죠^^;저 다음 순서에 매매가 상승이라고 하면결국 전세가 상승이 매매가 상승의 원인이되기에 저 분이 처음부" data-og-host="cocas95.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cocas95.tistory.com/m/1201" data-og-image="https://..
(2025) 어떤 유튜벙의 어제 영상에 대해->전세대출축소->월세경합증가->월세가격상승->전세시장복귀->전세가격상승.. 저번 말하고 틀림 ㅋ 다음은 매매가 상승이라고 쓰고 싶은데 결국그런데 그렇게 하면 자기 모순에 빠지죠^^;저 다음 순서에 매매가 상승이라고 하면결국 전세가 상승이 매매가 상승의 원인이되기에 저 분이 처음부터 주장하고 싶은 것하고 전면 배치가 됩니다. ㅋ그래서 매매가 상승이라고 쓰지 못하고 무슨15억 아파트 대출규제 내용으로 넘어가는것 보고 웃음이 좀 나왔습니다.저 분이 애초에 주장하고 싶은 내용은 “전세가율이 매매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입니다.그것에 대함 근거로 초고가 아파트 예를 드는데.. 음.. 좀 무리수를 두는 것이 아님가생각이 들었습니다.아래.. 보시면..유튜벙님 주장에 맞춰 자료를 펼치는 것도중요하지만 나름 인플루언스시잖아요..다른 팩트들도 전달 해주셔야지 좋다거 저는생각합니다. 제가 대신 전달할께요^^우선 서울아..
(2024) 유튜버 이웃사람의 전세가율 때문에 내년 집값 더 오른다는 논리 반박->아파트 매매가가 크게 떨어지고 전세가도 떨어짐->영끌매수금지 전세가율 공식을 한번 보겠습니다.전세가율이 상승하는 예정비례 관계인 전세가격이 상승반비례 관계인 매매가격이 하락그렇다면 뉴스기사 부터 해서 그것을 퍼다나르는 이웃사람까지 전세가율이 높다고말을 합니다. 즉, 이웃사람 부터 시작해서 상당수 기사들이전세가율이 상승하기 때문에 결국에는 아파트 가격을 상승시킬 것이라는 논리입니다.물론 맞습니다. 사람들이 아파트 가격 하락이 두려워서전세로 몰려서 전세가가 상승하고 그것을통해 전세가율이 올라간다는 말이지만...지금 상황도 그런지..부동산 정보 광장 나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분석하겠습니다. 22년 9-11월 3개월 평균매매 및 전세가 기준으로 분석을 하겠습니다.눈을 크게 뜨고 잘 보세요.24년 3개월 평균 매매가 12억24년 3개월 평균 전세가 5.7억22년 3개월 평균..
(2024) 서울 전세가율이 스멀스멀...갭투기 다시 고개들까?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시는데, 기자님. 제 결과는 서울아파트 전세가 하락인데요? 우선 작년 8월부터 올해 8월까지 서울부동산 정보광장에 나온 데이타를 근거로 전세가율을 계산하겠습니다. 2023년 / kb 자료 8월 : 54/113 (48%) / 51% 9월 : 56/111 (51%) / 51% 10월 : 57/107 (53%) / 51% 11월 : 59/104 (57%) / 52% 12월 : 59/104 (57%) / 52% 2024년 1월 : 56/107 (52%) / 52% 2월 : 54/109 (50%) / 53% 3월 : 54/111(49%) / 53% 4월 : 55/114 (48%) / 53% 5월 : 56/120 (47%) / 53% 6월 : 58/125 (46%) / 54% 7월 : 55/123 (45%) / 54% 8월 :54/113 (48%) / 54% 아래 기사 중..
(2024) 전세가가 52주 연속 상승 -> 언론들은 왜 저렇게 기사를 쓸까요? -> 실제로 2년 또는 4년전 보다 하락폭이 매우 큽니다. 왜 언론들은 52주 연속 전세가 상승 이야기만 하고 2년전 혹은 4년전 보다 전세가격 하락 이야기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안할까요?? 연합인포맥스에서 제대로 된 기사를 냈습니다. 전세 계약은 2년전 가격이 중요하다고 쇼킹 부동산 같은 많은 유튜버들이 이야기를 자주 합니다. 52주 상승은 맞겠지만 52주 라고 해봐야 결국 1년 하고 2달이고 그 시기는 현 정부의 부동산 가격 하락 방어를 위해 온갖 부동산 부양책을 실시했던 시기와 겹칩니다. 그렇게 해서 서민 주거중에 하나인 전세가를 52주 상승시켰고 그것을 언론에서는 전세가 상승하니 매매가도 곧 오를 것 처럼 말해 공포 팔이를 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을 합니다. 결국 52주 전세가 상승을 한 것이 아니라 지금 역전세 상황에 놓여있어 전세 보증금이 위험할 상황에 ..
(2023) 과연 전세가가 점점 높아져 매매수요로 흘러가게 되고 그것이 매매 시장 회복으로 이어질까요? 아니요. 과거 데이터와 결과는 그렇게 흘러간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과거에 어떤현상 A로 갔으니깐 이번에도 A로 간다고 말하는 유튜버나 전문가를 보면 도대체 과학이라는 개념을 갖고 있는지 의심이 듭니다. 과거의 모든 변수나 상태가 지금과 똑같다면 맞겠지만 지금은 너무나 상황 자체가 많이 변했습니다. 과거에는 없었지만 지금은 있는 것들을 한번 나열해보겠습니다. 1. 바젤3로 인한 DSR 대출 강력규제 2. 3000조가 넘는 천문학적인 가계부채 3. 부동산 PF 심각한 부실 4. 급증하는 전세사기 5. 합계 출산율 0.7명의 심각한 저출산 6. 스태그플레이션 7. 디스인플레이션 (사실 디플레이션에 더 가까움) 8. 서울아파트 역대급 경매 폭증 저것들 중에서 DSR을 없애지 않는 한 아파트 매매 /임대차 시장은 회복할..
(2023) 서울 임차권등기가 600% 폭증인데 전세가가 좀 오른다고 갭투자 꿈틀? 좀.. 제발.. 아무리 돈이 좋아도 이러지 맙시다요.. 서울 임차권 등기가 폭증하고 있습니다. 전세 보증금 돌려 주지 못한 임대인들이 그만큼 많고 그로인해 임차인이 피해를 볼 상황입니다. 임대인의 보증금을 본인 돈이라 생각하고 있는 일부 인성 쓰레기 임대인이 문제인데 생각보다 그 숫자가 매우 많은 것 같습니다. 지금 이런 상황인데 일부 신문에서는 자꾸 갭투기를 부채질 하는 듯한 기사를 올리는 것을 보면 정말 할 말을 잃게 만듭니다. 전세가는 상승은 했지만 그 상승폭을 줄어들고 있습니다. 사실 정부에서 시행한 역전세 임대인 대출규제 완화를 하지 않았다면 전세가는 진작에 하락했을 것입니다. 사실 여기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통해서 지속적 으로 비판를 했습니다. 이것은 임차인을 보호 하는 것이 아닌 임대인 및 일부 갭투기를 옹호 하는 정책이라 생각을 합니다. htt..
(2023) 공인중개사를 끼고 사기치는데 안당할 사람 과연 있을까요? 이쯤 되면 공인중개사는 소개만 하고 계약은 구청에 직접.. 다음 아고라때 부터 공인중개사를 신뢰하지 않았습니다. 아고라 부동산 방에는 중개사인지 보조원인지 몇몇 사람들이 글 도배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중 아직도 기억이 나는 사람이 있는데,, 닉 이름이 숲속에서, 아파트 대새상승 시작이 생각납니다. 숲속에서는 목동 떡방이 거의 확실했었죠^^; 물론 지역에서 오랜기간 중개업을 하면서 정말 성실하게 중개를 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일 것 입니다. 미꾸리지 몇마리가 온 하천을 흙탕물로 만들듯이 정말 일부 쓰레기 중개사들이 돈에 환장을 해서 저런 사기를 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법을 지금보다 더 강화해서 공인중개사 사기치면 자격증 박탈, 중개사 시험 5년간 응시 못하게 만들고 징역은 가볍게 최소 10년부터 시작을 해야지 저런 사기가 없어질 것 같습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