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완화 (9)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 한은에서 정부 집값방어에 가계대출 늘었다고 합니다. 1.3 부동산 규제 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으로 아파트 시장은 연착륙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정부의 목표에도 어느정도 부합되고 나름 의미있는 성과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은은 별로 좋은 기분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사실 금리를 올려서 시중 자금을 회수하고 물가 안정으로 가게끔 하는 것이 한국은행 설립 목적입니다. 중앙은행의 목표 물가 2%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직 갈길이 매우 멀고 왜 한은이 저런 불만을 토로했는지 이해가 갑니다. 요즘은 소비자 물가보다는 근원물가를 더 중요시 하고 있으며 여전히 끈쩍끈쩍 하니 물가가 잘 안떨어지고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가 떨어진 것은 국제유가 하락 때문입니다. 한은은 빨리 목표 물가 2%를 달성하기 위해 기준금리도 올려서 디레버리징을 하는데 정부는 특례보..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23년 6월 15일) 현황. 5월 26일에 올리고 거의 3주만에 올립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대한민국 주식/부동산은 쓸 내용들이 너무 많아 밀리다 보니 텀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 언론에서 말하는 부동산 반등은 투기수요들은 거의 들어오지 않는 실수요자 위주 시장입니다. 실수요자만으로 큰 상승은 어렵습니다. 투기 수요가 대거 유입되면 상승합니다. 만약 투기 수요가 본격적으로 움직인다면 감정가에 10-80%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경매시장에도 불이 붙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래 신건/유찰 그래프를 보면 거의 변함이 없이 높은 경매건수를 보이고 있고 잘 줄어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가 경매건수 글은 자주 못올리지만 경매현황은 모니터링은 자주 합니다. 한 일주일인가 신건 경매가 45건 정도로 좀 급격하게 줄어든 것을 봤습니다. 이 기사.. (2023) 문재인때 부동산 규제 -> 폭등 ....... 윤석열 부동산 완화 -> 폭락 예상???? 이 기사를 근거로 앞으로 대한민국 아파트는 역대급 폭락이 예상이 됩니다. 왜냐하면 현 정부는 규제를 왕창 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분양권 전매제한 해제까지 풀지 말아야 할 것 까지 풀었습니다. (저는 문재인한테 투표했고 문재인이 너무 못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윤석열을 뽑았습니다. 뭐랄까 문재인이 사회 전반적인 개혁을 단행해서 대한민국 체질을 바꿔줄 것 같았는데 말만 번지르르 했습니디. 한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오매불망 북한하고도 잘된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괘씸죄로 윤석열을 뽑았습니다. 현 대통령한테는 아무런 기대는 없습니다. 그냥 무사히 5년 임기 마치고 내려오면 다행입니다. 제 정치적 성향은 잘하면 지지하고 못하면 무조건 반대쪽을 뽑습니다.) 문재인때 부동산 폭등은 위의 기사 처럼 규제.. (2023) 깜깜이 분양 조심 우리가 편의점에 가서 눈을 가리면 물건을 제대로 구매를 할 수 있을까요? 잘못 구매하면 흑우되는 것은 한순간이고 경제적 손실이 예상되며 대출을 받았다면 평생 금융노예로 살 수도 있습니다. 정말 조심하고 확인하고 또 확인하며 심사숙고 하면서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ps) 역시 대한민국은 부동산 공화국 맞습니다. 2023년이 2008년 부동산을 바라본다 1. 건설사 자금 위기 2. 주택가격 대폭락 3. 6년만에 부동산 규제 완화시대 출발 4. 신규 아파트 청약시장 붕괴 5. 전세 시장 '역전세 대란'발생 6. '노도강' 강세, 찻잔 속 태풍? 7. 종합부동산세 위헌, 부동산 규제 완화 힘 받아 8. 대주단 협약 체결, 업계 유동성 지원의 새모델로 9. 해외 건설수주 러시.. 적신호도 커져 10. 끊이지 않는 대운하 해프닝 상당히 비슷한 것 같습니다. 저 당시와 다른 것은 1000조가 넘는 천문학적인 부채가 없는 것이 좀 차이점이 있습니다. (2023) 둔촌주공 재건축 계약률,,,살려는 드리겠습니다. 정부의 1.3 부동산 규제완화가 없었다면 40%대 계약률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70% 나왔으니 정부가 살려는 줬지만 앞으로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분양권 전매제한이 8년에서 1년으로 줄었고 실거주 2년 의무도 사라졌으니 투기꾼들의 입질이 갈만한 것 같습니다. 미분양의 기울기가 참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과연 어떻게 될까요? 정부는 미분양으로 촉발될 PF발 위기를 잘 막을지 아니면 잘 대처를 못해서 큰 위기를 맞을지.. (2023) 가짜 새벽에 속지 말라고 합니다. 사람이지만 로봇같으며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 기사를 쓰는 기자가 많은 인터넷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위 기사는 좀 길고 저 같은 경제분야 비전공자가 자세한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정말 기자가 기자답게 자료 및 문헌조사에 근거를 바탕으로 쓴 글이라 참 마음에 듭니다. 결국 조심하라는 이야기입니다. 뭔가 환율도 안정되는 것 같고 물가도 잡히는 것 같고 부동산 규제 완화도 되는 것 같고 재건축 규제 완화도 되는 것 같고 증시도 오르는 것 같고 외국인도 들어오는 것 같고 기준금리는 오르지만 시중금리는 떨어지는 것 같고 바닥이라 생각하면서 들어가면 그 위치가 바닥이 아니라 지하 수십층이 아래에 기다리고 있을 수 있습니다.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월 12일 2022년 7월 신건 25 유찰1회 24 유찰2회 10 유찰3회이상 7 2022년 12월 25일 신건 34 유찰1회 83 유찰2회 63 유찰3회이상 26 2023년 1월 12일 신건 16 유찰1회 73 유찰2회 48 유찰3회이상 22 지금 이 수치 추이를 보면 경매가 어느정도 진정세 국면에 들어갔습니다. 아마도 윤통의 부동산 규제 완화의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경매가는 아마도 감정가 같은데.. 신건이 100% 유찰1회 80% 유찰2회 64% 유찰3회이상 11-51% 서울 아파트가 대체로 고점대비 한 -20~-30% 하락한 단지가 많기에 감정가 대비 64%인 유찰 2회짜리 물건을 잡으면 괜찮을 것 같아서 그런지 그쪽 물건 개수가 좀 줄었습니다. 그런데 3회 이상은 아직 줄이지는 못했습니다. 거의 반토막..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