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리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 한은 기준금리 동결? 인상? 오늘 금통위가 열리고 전문가들 모두 동결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마 동결이 될 것 같기는 하지만 올리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저 콧수염 아저씨 말처럼 물가를 낮추려면 결국 돈의 가치를 올리는 지속적인 금리인상이 수반되어야 하고 그로인해 경기침체가 와야지 저물가 상태로 갑니다. 저물가 저상장이 오면 일부 부동산 유튜버들이 바라는 저금리가 나오고 그것은 전세대출 금리가 낮아지면서 전세가가 회복하고 다시 매매가를 끌아올리는 현상으로 갑니다. 그런데 보이지 않는 손이 건드리고 있어서 그런지 기준금리와 환율은 오르는데 자꾸 시중금리는 내려가게끔 하려고 하고 시중 유동성을 최대한 흡수해야 하는데 자꾸 DSR 회피 대출만 늘리는 것 같습니다. 물가를 잡는데 노력한다고는 하지만 이래서는 물가 잡기는 어렵습.. (2023) 금리인하? 희망고문? 대한민국 기준금리는 0.5% 급격하게 7배 올린 3.5%입니다. 그런데 물가는 잡히지 않고 오히려 0.2% 더 상승했습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것은 상식입니다. 기준금리가 7배 올랐지만 시중금리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미국, 한국 국채 10년물이 하락 패턴은 같지만 한국이 더 빨리 떨어지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 이렇게 두 나라 기준금리는 오르고 채권금리는 하락하니깐 물가를 잘 못 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오히려 0.2% 물가가 더 올랐습니다. 미국은 하락을 했지만 전월대비 0.1% 정도입니다. 저보다 훨씬 더 뛰어나시는 분들께서 하반기에 금리인상은 멈출 것이고 오히려 하락을 할 것이다. 그래서 그때쯤이면 부동산 반등이 있을 것이라 말합니다. 글쎄요.. 저처럼 비전공자인 눈에는 지금 .. (2023) 금리인하 기대감??? 기대를 하는 것은 각자의 자유지만 과연 금리가 하락할까요? 한국 1월 기준금리는 3.5% 미국 1월 기준금리는 4.5% 미국은 다음달 fomc 회의 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면 우리나라도 따라 올릴 수 있겠지만 환율이 지금처럼 안정적으로 간다면 올리지 않고 동결로 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금리하락으로 간다고 주장하는 일부 뉴스를 보면 좀 고개를 갸웃뚱 하게 만듭니다. 조금 하락한 상태라고 하지만 물가가 아직 높은 상태입니다. 오히려 위 기사처럼 분석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 아닐까 합니다.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태에서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이 온다면 그것은 스태그플레이션입니다. (2023) 대부업법 최고금리 다시 상승? 여러번 기사를 읽었는데 제가 독해력이 낮아 잘 이해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대부업 금리가 낮아 서민들의 돈줄을 막는 역할을 해서 대부업 금리가 오른다.. 그래서 금리를 높여야 한다. 대부업 금리를 높게 받고 돈줄 풀리는 것이 좋은가? 금리를 낮게 받고 돈줄 줄이는 것이 좋은가? 처음부터 대부업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가? 그냥 헛웃음만 나옵니다. 허허허 같이 공부해요 - 2 (장단기 금리역전) 일단 기본적인 개념은 이 기사를 통해 잘 나왔습니다. 이 기사가 2022년 4월 3일에 나왔습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2/04/03/7TSD4CIZ3FHG3KQCRTUU2RYDTE/ “불황이 닥칠 전조”… 장단기 금리역전, 도대체 뭔가요 [5Q경제] 불황이 닥칠 전조 장단기 금리역전, 도대체 뭔가요 5Q경제 美 2년 만기 국채 금리 급등 2년반 만에 10년 만기 추월 www.chosun.com 지금 채권금리를 볼까요??? 기준 금리를 0.5% 올렸어도 고작 차이가 0.4%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군요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