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부채

(13)
(2023) 은행 연체율 비상과 4대 은행 뱅크런 위험 낮음에 대해서.. 제가 오래전에 주식 경제 부동산 강연에 갔는데 그때 어떤 청중 한명이 부동산 하락을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지표가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대답은 원화 연체율이 6개월 지속되면 부동산 하락 신호라고 했습니다. 저 그래프가 잘 보이지 않지만 작년 8월 부터 올해 1월까지 그래프입니다. 딱 6개월입니다. 아직 2월은 나오지 않았지만 연체율이 오르는 추세일 것입니다. 국내은행 BIS 비율 권고치 웃돌아서 뱅크런 위험이 낮다는 기사입니다. 연체율이 점점 높아지는 것은 부동산 시장에 좋지 않은 것이고 은행에 대해서도 그렇게 우호적인 상황은 아닐 것입니다. 아마도 뱅크런 한다면 저축은행이나 새마을금고 부터 시작이 될 것 이고 실제로 일부 새마을 금고는 뱅크런 경고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4대 은행 뱅크런 위험은 낮겠지만 ..
(2023)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보면서.. 혹시??? 신종자본증권이 뭔가 새로운 것이라 생각을 했는데 과거 전환사채와 유사한 상품인것 같습니다. 과거 정말 아무것도 모를때 동양종금 전환사채를 500만원 청약넣고 200만원 할당 받아서 2년정도 보유하다가 (이자받고) 주식으로 전환해서 한 150만원 벌었던 기억이 납니다. 근데 그때 시기가 요즘 시기와 맞물려 묘한 느낌을 줍니다. 2005년에 동양종금이 전환사채 발행을 했습니다. 그 뒤 3년 뒤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했고 이 동양종금은 결국 모기업 유동성 위기로 2014년에 대만 유안타그룹에 매각되었습니다. 지금이 경제 위기라고 하는데 어쩌면 더 큰 위기가 앞으로 오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문뜩 가져봅니다. 항상 헷지 수단은 조금씩이라도 마련하셨으면 좋겠습니다. ps) 담보 채권>일반채권>후순위 채권>신..
(2022) 원리금 상환 부담 확대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가계 특성별 비교 2022년 12월 한국은행에 게재된 자료입니다. 결국 DSR로 인해 소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저처럼 일반인들에게는 너무 머리 아픈 내용이라 마지막 앞으로 어떻게 될지 핵심적인 것만 알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보고서 마지막 하단 첫번째 레퍼런스를 보면 유럽의 경우 DSR 상승시 외식, 숙박, 교육 등 비필수적 재화 및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를 줄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비슷하게 갈 것이라 생각이 들고 주식에 투자한다면 위에 언급한 업종들은 정말 잘 판단하셔서 들어가셔야 할 것 같습니다.
(2023) 기재부 국가재정동향 1월호 (빚이 1000조 이상) 오래간만에 기재부에 있는 국가재정동향을 봤습니다. 뉴스 기사에도 올라오겠지만 가끔 원문을 읽는 것이 좀 많이 힘들지만 (어려워도) 좋은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경제는 좀 많이 힘든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맘 빚이 넘 많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중앙정부채무가 1000조를 넘었습니다. 국가부채는 2020년 기준 1985조이니깐 올해 2023년은 2000조를 넘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부부채가 저 국가부채에 포함이 되었는지 아닌지는 잘 모르지만 빚이 너무 많으면 결코 쉽지 않는 것은 만고불변의 진리입니다. 대한민국은 내수가 아닌 수출로 먹고 사는데 수출이 적자이면 2000조 가까이 되는 빚을 잘 관리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됩니다. 정부는 쉽게 경제 성장률을 올리고 부동산발 경제위기를 막기..
(2022) 1000조 자영업자 대출 내년이 경제적으로 큰 위기의 한해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자영업자 대출의 부실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을 합니다. 지금 유동성 환경이 급격히 말라가고 있습니다. 현금 확보에 최선을 다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