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매가율

(2)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23년 7월 1일) 현황. 7월 2일 낮에 작성을 했고 보통 일요일에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그냥 7월 1일 기준으로 말하겠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연착륙을 위해 올해 1월에 DSR을 피할 수 있는 특례 보금자리론을 비롯해서 분양권 전매제한 완화 등 부동산 시장에 숨통을 불어넣는 조치로 인해서 지속적 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실 고통이 크더라도 부동산/자산의 리밸런싱과 디레버리징을 해야 하는데 막상 그렇게 되면 대한민국 경제가 정말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갈수도 있기에 그러한 조치가 이해는 되지만 많이 아쉽기는 합니다.) 이렇게 증가한 거래량은 서서히 신건 경매의 감소로 이어집니다. 즉 경매로 가기전에 누군가가 집을 매수해주고 있다는 말입니다. 대체로 실수요자들이 지금의 시장을 이끌고 있고 부동산 투기 및..
(2023) 2030대 경매시장으로 쏠리고 있는 것을 보면서.. 2030이 이번에는 경매로 많이 갔습니다. 도대체 2030을 선동하는 세력들은 누구일까요? 아니면 2030은 스스로 단체로 그렇게 행동하는 것일까요? 20-21년 아파트 급등기때 2030이 영끌해서 매수를 했고 지금은 대충 잡아도 고점대비 평균 -20% 하락을 했을 것입니다. 여기에 주식과 코인도 예외는 아닐 것입니다. 코로나로 인한 저금리로 주식과 부동산 코인이 급상승기일때 내가 아는 주변 2030들은 자주 이들 자산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것을 봤습니다. 지금은 조용합니다. 수익을 내서 조용한건지 손해를 봐서 조용한건지 알 수 없습니다. 저도 2030때 뭔가 참 불안했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많이 찾아보고 많은 시도를 했지만 결국 어떻게 보면 보이지 않는 손들에 의해 그들의 의도에 맞춰 춤을 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