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율상승

(5)
(2023) 2014년 하우스푸어 그리고 2023년 영끌 (DSR 20% vs DSR 40%) 요즘 하우스푸어라는 말을 잘 사용하지 않고 영끌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2014년 당시에는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집을 산 사람들을 하우스푸어라고 했습니다. 저도 그당시 40대 초반이니깐 나름 요즘 30- 40대 영끌한 것 처럼 하우스푸어 였습니다. 다행히 이후로 급격히 금리를 낮추고 빚내서 집사라는 정책으로 거의 죽다 살아났습니다. 서울아파트 가격은 2014년 까지 심각한 침체 그 자체였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2008년 금융 위기 이후로 5-6년에 걸쳐서 고점대비 기본 -30%는 기록했고 일부 지역은 -40~-50% 하락을 당했습니다. 2014년 DSR 20%를 하우스푸어 기준이고 지금은 DSR 40%를 하우스푸어 기준입니다. 물론 10년전 보다 소득도 늘어나고 시중의 유동성도 많이 풀려서 지금의 DS..
(2023) 경고음 울리는 대한민국. 5월 8일자 신문입니다. 이 기사는 꼭 원본을 읽으셨으면 합니다. 모든 지표가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은 내수가 아닌 수출로 먹고 삽니다. 수출이 잘 되고 달러를 많이 벌어온 만큼 원화의 가치는 보증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수출이 삐끄덕 거리면 모든 지표에 경고등이 켜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그러한 좋지 않은 지표를 일목요연하게 정리를 했습니다. 그래서 어쩌면 정부는 부동산이라도 좀 부양을 해서 떨어지는 각종 지표들을 조금이라도 반등시키려고 노력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대한민국은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이 65% 정도로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역시 천문학적인 가계부채가 걸림돌입니다. https://cocas95.tistory.com..
(2023) 미금리 최종 5.4% 예상.. 한국은?? 최근 아파트 매수자=불트랩? 만약 미국 최종금리가 5.4%이면 대한민국 기준금리는 5% 못해도 4.75%입니다. 지금이 3.5%인데 약 1.75% 차이를 무시하면서 계속 채권금리가 하락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한때 뉴스를 보면 기준금리 인상은 끝났고 기준금리 하락 뉴스들이 종종 보였습니다. 한국의 기준금리 2%라면 정말 부동산 투기꾼들은 좋아할만한 금리라고 생각합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전세대출 금리도 낮아지고 그러면 전세수요도 다시 살아나고 전세가가 올라가고 전세가가 올라가면 매매가를 올리게 되는 대한민국 부동산의 전형적인 패턴입니다. (전세를 낀 갭투기 비용이 감소합니다) (초기 투기금이 낮아지는 것은 투기꾼들한테는 좋은거죠) 지금의 대한민국 부동산의 하락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금리 상승 전세수요 감소 전세가 하락 매매가 하..
(2023) 기준금리 동결 후폭풍과 한국은행의 설립목적 https://cocas95.tistory.com/m/211 (2023) 한은 기준금리 동결? 인상? 오늘 금통위가 열리고 전문가들 모두 동결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마 동결이 될 것 같기는 하지만 올리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저 콧수염 아저씨 말처럼 물가를 낮추려면 결국 돈 cocas95.tistory.com 제가 2월 23일자 티스토리에 올렸던 글입니다. 저는 여기에서 동결보다는 기준금리 인상을 하는 것이 그나마 옳은 방향이라 말했습니다. 그러나 금통위원들은 기준금리 동결을 하셨습니다. 지금 그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후폭풍 기사가 여기저기서 나옵니다. 경제 비전공 주린이 7년차 눈에는 기준금리 올리는 것이 동결보다는 여러가지 면에서 좋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좋은 것도 없습니다..
(2023) 폭락론자의 진리 - 하이먼 민스키 모델 제가 생각하는 부동산 1차 하락은 헬리오시티 입주전인 2017년 전후였던 것 같습니다. 물론 그때를 하락 보다는 조정이라 생각이듭니다. 민스키 그래프로 봐도 1차 하락은 미비합니다. 그리고 코로나로 인한 저금리로 정말 저점대비 3배는 평균 상승을 한 것 같습니다. 민스키 그래프로 보면 새로운 논리 탄생입니다. 영끌5적(누구인지는 잘모르지만)과 비슷한 부류의 사람들이 서울아파트 불패라고 떠들고 공급부족이며 과거 사례를 통해 고금리에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던 것들이 생각이 납니다. 지금은 2차 하락을 제대로 맞고 있고 정부의 각종 규제완화로 반등의 기미가 살짝살짝 보입니다. 민스키 그래프로 보면 현실부정 하면서 다시한번 희망회로를 품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반등에 성공한다고 해서 고점을 절대로 뚫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