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아파트 (청약)

(15)
(2023) 둔촌주공 계약률 90%는 뻥인가? (대구 새마을 금고 부실 1300억) 근거없는 설이라고 합니다. 만약에 90%가 진실이라면 사람들이 북적북적 해야 하는데 실상은 좀 썰렁한 것 같습니다. 정말 둔촌주공 살리기에 모든 것이 모든 것이 총동원 되는 것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게 착착 진행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헷갈리는 상황입니다. 둔촌주공 미분양 정도에 따라 그 여파는 금융권으로 가는 것은 어쩔수 없는 현상입니다. 작년 8월 새마을금고 PF 연체율이 7% 이고 결국 이것은 올해 대구 새마을 금고 부실 대출 1300억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전국 미분양이 가장 많은 대구에 새마을 금고 부실 1300억은 미분양이 쌓이면 결국 금융권 부실로 이어지는 단적인 예로 보여집니다. 그렇기에 정부가 둔촌주공 살리기에 사활을 걸고 더 나아가서 부동산 규제의 모든 것..
(2023) 둔촌주공 계약률 48% 커뮤니티에 둔촌주공 계약률 48%라는 말이 나옵니다. 물론 저 추측이 맞을지 틀릴지는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언론에서는 70%대이고 최종 계약률은 90%를 달성할 것이라고 합니다. 어떤 말이 맞는지 앞으로 지켜보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될 것 같습니다. ps) 인버스는 조금 더 살짝 더 분할매수 비중을 0.2배 정도 높이려고 합니다.
(2023) 둔촌주공 또 다른 갈등 예고? 갈등이 생기겠지만 정부가 잘 정리해줄 것입니다. 둔촌주공 무너지면 건설사, 시행사 그리고 금융권 등 그 영향이 너무 크고 더 나아가 경제가 휘청거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023) 깜깜이 분양 조심 우리가 편의점에 가서 눈을 가리면 물건을 제대로 구매를 할 수 있을까요? 잘못 구매하면 흑우되는 것은 한순간이고 경제적 손실이 예상되며 대출을 받았다면 평생 금융노예로 살 수도 있습니다. 정말 조심하고 확인하고 또 확인하며 심사숙고 하면서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ps) 역시 대한민국은 부동산 공화국 맞습니다.
(2023) 블룸버그도 둔촌주공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200여개 나라가 있습니다. 그중 동북아시아 반도의 한 국가의 아파트 분양을 블룸버그는 주목하고 있습니다. 둔촌주공 재건축 (올림픽파크 포레온) 분양 결과가 한국경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계약률이 “성공적이다 실패다” 여러 말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고작 2달전에 나온 기사입니다. 10만 청약설이 나올 것이라 기대된다고 합니다. 이것을 보면 지금의 둔촌주공 계약률은 실패라고 생각합니다. ps) 경제 뉴스는 항상 비판적인 시각으로 곰곰히 생각하고 알아보고 공부하면서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 둔촌주공 재건축 계약률,,,살려는 드리겠습니다. 정부의 1.3 부동산 규제완화가 없었다면 40%대 계약률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70% 나왔으니 정부가 살려는 줬지만 앞으로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분양권 전매제한이 8년에서 1년으로 줄었고 실거주 2년 의무도 사라졌으니 투기꾼들의 입질이 갈만한 것 같습니다. 미분양의 기울기가 참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과연 어떻게 될까요? 정부는 미분양으로 촉발될 PF발 위기를 잘 막을지 아니면 잘 대처를 못해서 큰 위기를 맞을지..
(2023) 정부의 둔촌주공 살리는 것을 보니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정부의 입장에서도 이해는 갑니다. 만약 둔촌주공이 지금같은 부동산 하락기에 삐끗이라도 하면 미분양은 정말 겉잡을 수 없을 것입니다. HUG도 지금 자금 상황이 만만치 않고 여러가지로 좋지 않는데 말입니다. 박근혜때 시작된 가계부채 증가의 물꼬를 문재인때 대박 증가시켜 놓았는데 윤석열 대통령이 잘 대처할지 지켜보는 것도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잘 대처하지 못하면... 옆나라 일본의 꼴로 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단, 통일까지는 아니지만 북한이라는 변수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