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 (38)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 서울아파트 157만채 : 9개월 거래건수 약 30000건 vs 9개월 경매건수 2100건 -> 1.9% vs 0.13% https://cocas95.tistory.com/m/721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1월 20일) 현황. 유찰 3회이상 38건은 본적 없는데 무슨 헛소리를 하시는신건 87건에서 76건 유찰 1회 116건에서 118건 유찰 2회 85건에서 77건 유찰 3회 이상 30건에서 38건 2017년 부터 조사를 했었는데 유찰 3회 이상 38건은 제가 본 적이 없습니다. 어떤 청약 애찬론자 유튜cocas95.tistory.com 어제에 이어서 어떤 청약 애찬론자 유튜버의 주장을 반박하려고 합니다. 그 유튜버는 전체 서울아파트 비중에서 경매는 미비하고 고금리 상황에서 빚 상환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합니다. 똑같은 논리로... 그럼 서울아파트 전체 중에서 9개월간 고작 2% 되지 않는 ..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1월 20일) 현황. 유찰 3회이상 38건은 본적 없는데 무슨 헛소리를 하시는지.. 신건 87건에서 76건 유찰 1회 116건에서 118건 유찰 2회 85건에서 77건 유찰 3회 이상 30건에서 38건 2017년 부터 조사를 했었는데 유찰 3회 이상 38건은 제가 본 적이 없습니다. 어떤 청약 애찬론자 유튜버가 지금 서울아파트 경매 폭증에 대해서 고금리 상황에서 나오는 채무불이행은 당연한 것이고 그로 인해 경매가 나오는 것에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는 논지로 말하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그 경매 건수는 서울아파트 전체에 비하면 0.17%로 극히 낮기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고 언론이 침소붕대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과학 실험하다 보면 마커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그 마커가 뜨면 지금 생물학적 상황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경매 건수가 비록 전체 서울아파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조족지혈 ..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1월 7일) 현황. 여전히 그냥 폭증중. 누가 저들의 아파트를 경매장으로 가게 만들었나?? 신건 75건에서 88건 (+13건) 유찰 1회 129건에서 121건 (-3건) 유찰 2회 69건에서 76건 (+5) 유찰 3회 27건에서 29건 (+2) 원래는 일주일에 한번 올리는데 다음 연속해서 올리는 글에 첨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급하게 조사해서 올렸습니다. 저는 그 유튜버가 꾸준히 한 말을 기억합니다. 올해 연말쯤 되면 금리인하가 될 것이고 그것 으로 유동성 장세가 펼쳐지면 하락 내지는 폭락은 없기 때문에 청약을 하고 전세 빠지는 시기에 맞춰 내집마련 하라고 했습니다. 물론 실거주 1주택이라면 청약을 하고 아파트 매수를 하는 것에 저도 절대 찬성입니다. 가족 거주의 안전성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 시기입니다. 저렴할때 매수해야지 고점일때 매수하면 호구라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중에..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0월 24일). 경매가 저렇게 쌓이는데 집값이 오른다구요???고분양가 청약에 들어가야 한다구요??? 신건 83건에서 58건 유찰 1회 126건에서 123건 유찰 2회 54건에서 61건 유찰 3회 24건에서 27건 신규 경매 물건은 좀 17건 정도로 줄었지만 신건에서 유찰 1회이상으로 넘어가는 물건도 평균 10건으로 넘습니다. 유찰 1회에서 낙찰되지 못하고 유찰 2회로 넘어가는 추세가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유찰1회 이상이 낙찰되지 않고 쌓이는 것을 보면.. 유찰 1회가 감정가에서 -20%, 유찰 2회가 -40%인 것을 감안하면 지금 서울아파트의 적정가는 고점대비 일단 반토막을 조심스럽게 예상을 해봅니다. ps) 모든 경매가 추세선을 보더라도 우상햔 하고 있습니다^^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0월 17일). 경매 신건 지속적으로 유입. 낙찰되지 않고 유찰 되는 서울아파트 증가. 제발 매수는 신중히.. 신건 72건에서 83건 (16건 신건 유입) 유찰 1회 121건에서 126건 유찰 2회 56건에서 54건 유찰 3회 22건에서 24건 서울 아파트 9월 거래량도 4000건 넘기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거래침체인데 매물은 계속 쌓이고 있습니다. 뭐든지 팔리지 않고 쌓이다 보면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을 합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팔리지 못한 물건들은 경매로 계속 나오지만 실제로 낙찰 되는 건수는 매우 낮고 유찰만 계속 쌓아가고 있습니다. 기다리면 싸집니다. 인내하면 저렴이로 가족의 보금자리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갖고 장난친 사람들이 이제 좀 고통을 당하고 그들의 탐욕으로 인한 책임을 져야 하는데 자꾸 그들의 물건을 영끌해서 매수하는 사람들 보면 태생이 천사인지.. 참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지..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0월 11일). 유찰 2회 56건으로 폭증. 경매시장 한겨울. 지금 매수하면 상투 틀면서 호구인증입니다. 신건 81건에서 72건 유찰 1회 127건에서 121건 유찰 2회 39건에서 56건 유찰 3회 24건에서 22건 이 수치를 보고서도 영끌해서 매수하고 싶나요? 신건이 줄어든 것은 유찰1회로 넘어갔고 유찰 1회에서 다시 17건 정도가 유찰 2회로 넘어 갔습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 정말 좋다면 경매 시장부터 유찰 건수가 감소해야 합니다. 그런데 저렇게 쌓이고 있습니다. 유찰 2회는 감정가에 40% 가격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가 낙찰되지 않는다는 말은 지금 아파트 가격이 거품이 있다는 말입니다. 즉, 쌓이고 쌓이다 보면 가격 하락은 불을 보듯 뻔합니다. 제발.. 현 시장을 냉정하게 보시길 바랍니다.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0월 5일). 신건 81건으로 다시 폭증. 제발 지금 아파트 매수해서 호구되지 마시길.. 쌀때 사세요 ^^ 신건 54건 에서 81건 유찰 1회 125건에서 127건 유찰 2회 39건에서 39건 유찰 3회 21건에서 24건 지금 뉴스에서 잘 나오지 않지만 제가 2017년 경매 물건 조사한 이후로 이런 수치는 잘 나오지 않았습니다. 아파트가 지금보다 더 상승할 것 같은데 왜 경매 물건이 폭증할까요? 그리고 그 폭증된 경매 물건은 잘 소화되지 않고 유찰 건수가 왜 늘어날까요? 생각보다 아파트 시장은 최악입니다. 지금 아파트를 구매하는 것은 섶을 지고 불로 들어가는 것이고 호랑이 입에 머리를 들이미는 형국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간단히 2글자로 호구 라고 합니다. 물론 서울아파트는 매수하는 것이 맞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다음 글을 통해서 서울아파트 매수 시기를 알려 드리도롣 하겠습니다.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9월 26일).신건 54건으로 다시 증가..그리고 유찰1-3회는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음. ㅠ.ㅠ 신건 37건에서 54건 유찰 1회 125건에서 123건 유찰 2회 37건에서 39건 유찰 3회 21건에서 18건 잠시 신건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로 갈 모양입니다. 유찰 경매는 진짜로 잘 줄어들지 않고 계속 몇주째 저 수치입니다. 유찰 1회는 감정가에 20% 할인된 가격. 유찰 2회는 감정가에 36% 할인된 가격. 유찰 3회는 감정가에 최저 91% 할인된 가격. (대략 평균 따지면 감정가에 40-50% 할인) 권리분석도 해야하고 여러가지로 경매물건이 복잡하기는 해도 저렴이로 줍줍할 수 있는데 사람들이 잘 들어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물건 사려고 하는 사람이 물건을 사지 않는 이유는 비싸거나 물건에 하자가 있으면 쳐다보지도 않습니다. 경매물건이 다 물건에 하자가 있는 경우가 많고 ..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