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아파트 (부채) (36)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 SVB 사태 -> 2금융, pf 빨간불 SVB 사태로 인해 금리인상 속도가 멈추고 금리동결, 더 나아가 금리인하 시기가 빨리 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부동산 투기세력들을 보면서 헛 웃음이 납니다. 저처럼 돈 없는 사람들은 주식이든 예금이든 내 노동력으로 정당하게 얻은 돈으로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돈을 잃으면 절대 안됩니다. 수익이 크지 않고 느리게 쌓일지라도 절대로 마이너스 수익이 나거나 원금 손실이 나면 안됩니다. 이 기사를 읽고 이렇게 행동하면 어떨까요? 제2금융권에 돈이 있다면 혹시 모르니깐 상황을 보면서 예금 금리가 좀 낮더라도 1금융으로 갈아탄다. 부채비율이 높은 건설사 주식은 비중을 줄여나간다. 설령 이 위기를 잘 넘겨 부채비율이 높은 주식은 더 상승하고 2금융은 예전처럼 1금융 보다 예금 금리를 더 줄 수 있을 수 있을 지라도 저는 .. (2023) 주택담보대출 스웨덴 105년 / 한국 50년... 스웨덴에 살면 수명이 100년 이상 살 수 있나 봅니다. 주담대 105년. 이것도 140년에서 105년으로 줄인 것이라 합니다. 140년일 경우 그야말로 세대를 뛰어넘는, 잘하면 할어버지 빚을 물려받는 어이없는 (?)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많이 살아야 90살 넘을 것 같은데 나머지 기간 못 갚으면 그냥 채권자가 자체 회수에 들어가는지 아니면 자식한테 빚을 대물림 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도 주담대 50년 짜리가 나왔습니다. 스웨덴과 달리 50년으로 나온 것은 죽기전까지 빚은 다 갚고 가라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빚 갚는 기간을 길게 해서 총부채원리상환 DSR을 적절하게 회피하는 것은 역시나 아무리 생각해도 금융노예만 양산하게 될 것입니다. (2023) 특례보금자리론을 보면서.. DSR회피??? 지하철 출근하다 우연히 봤는데 좀 짤려서 찾아보니 이런 내용의 광고였습다. 나머지 2-4번째는 사실 큰 의미가 없습니다. 첫번째 소득제한을 없앤 것이 참 거시기 했습니디. 즉 dsr을 무력화 시켰습니다. 참.. 뭐라 할 말이 없습니다. 저보다 훨씬 뛰어난 분들이 하시는 정책이겠지만 이것이 진정 국민을 위한 것인지 저는 고개가 갸웃뚱입니다. 이래서 물가가 잡힐까요? 공공 및 서비스 요금으로 물가상승 대출규제 완화로 유동성 공급으로 물가상승 그런데 경기침체. 이것은 빼박 스태그플레이션입니다. 부동산 상승론자는 경기침체가 되어야지 금리를 낮추고 돈을 풀어 자산가격이 상승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은 물가는 물가대로 오르고 금리는 금리대로 내리고 부동산은 다시 반등 및 폭등하고 경기침체는 경기침체대로.. (2023) 원화연체율로 부동산 가격 전망 글을 쓰는데 역시나 한참 지웠다 썼다 했습니다. 역시 논란 거리를 만들지 않고 글을 쓴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음을 확인합니다. 그래도 기업은 연체율이 좀 가계보다 적게 나올줄 알았는데 둘다 상승세입니다. 원화연체율의 지속적 상승은 부동산 반등 보다는 하락이 좀 더 지속될 수 있습니다. 1월, 2월 거래량 반등이 어쩌면 죽은 고양이 튀어오르기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3) 서울아파트 값은 대출 증감에 영향을 받습니다. 지금처럼 신용화폐 시스템에서 경제성장이 할 수록 부채는 증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한은이 하는 역할은 기준금리 결정을 통한 통화량을 조절하면서 시중 유동성을 조절해 갑니다. 대출이 1월에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만큼 시중 유동성은 급격하게 마르고 있고 그것은 곧 아파트 하락 거래로 이어지도 있습니다. 20년 3월 부터 코로나로 인한 저금리로 대출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이것은 20년 6월에 역대급 서울 아파트 거래량을 만들었으며 1년 뒤인 21년 6-7월에 서울 아파트 최고가를 형성했습니디. 그런데 사실 대출은 최고가 찍기전 6개월 전부터 사실 하락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이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영끌을 했습니디. 왜냐하먄 줄어든 유동성을 최대한 끌어와야 했기 때문입니디. 부동산에 잔뼈가.. (2023) 건설사 부채비율을 보면서 정말 어마 무시한 부채를 짊어지고 있습니다. 저 기사는 작년 11월에 나왔으니 지금은 더 심하면 심할지 덜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스웨덴 주택위기를 보더라도 어쩌면 정부가 모든 것을 싹다 동원하면서 부동산을 그리고 건설사를 살리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 글은 어느 카페에서 올라와 있는 글인데 기사는 아닌 것 같은데 출처는 찾기가 어렵지만 스웨덴도 지금 힘든 것 같습니다. 한 10년전에 학회가 있어서 스웨덴에 간적이 있는데 인구가 많지 않아 그 당시 1000만 넘었다고 다들 좋아했다는 가이드 말이 생각이 납니다. 지금 보니깐 1042만입니다. 합계 출산율은 1.66 대한민국은 5000만에 합계 출산율이 0.8명 정말 답이 없는 대한민국 출산율입니다. 지금은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부동산 급락 장세이지만 앞으.. (2023) 대주단이 가동 준비. 2008년 금융위기에 가동된 적이 있는 대주단이 15년이 지난 지금 가동준비중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PF발 경제위기 우려가 심각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나마 지금 환율이 안정세이고 시중금리가 하락추세라 정부가 개입할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최대한 현금을 확보하는 상황에서 주식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2023) HUG가 참 위태롭습니다. 자본주의에서 보장 보다는 보증을 더 신뢰하는 것이 맞지만 지금 허그 상황을 보면 그것도 100% 옳은 말은 아닐니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고 hug가 파산하거나 하는 일은 없겠지만 많이 위험해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윤정부는 내년 총선전까지 어떻게서든지 이번 경제위기를 막을 것입니다. 혈세든 세금이든 모든 것을 퍼붓더라도... 경제 실정으로 내년 총선에서 야당한테 지면 윤정부 남은 임기는 레임덕이 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 입니다.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