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83)
(2023) 추천주-4 동국제강 분할로 매수 시작하면서 떨어지면 좀 사고 본인 예상 수익권에 들어오면 분할매도 하면서 수익실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매수가 매도가는 정해주지 않습니다. 대체로 오늘 추천하면 그냥 오늘 아무때나 사시면 됩니다. 그냥 재무제표 이상하지 않으면 평생 들고갈 주식이라 일희일비 할 필요가 없습니다.
(2023) 성남 구도심 아파트 반토막 왜 반토막이 났을까요? 코로나 역대 최저금리 0.5%에 형성된 가격 때문입니다. 주식 및 부동산 같은 자산시장은 많이 급하게 오르면 많이 급하게 내려갑니다. 더 떨어질까요? 앞으로 일을 알 수는 없지만 지금보다 더 하방 압력이 강할 것입니다. 그러면 다시 고점을 회복할까요? 코로나 같은 역대 최저금리 0.5%가 되지 않으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만약 0.5%인데 디플레 상황이라면 일본식 장기침체 모델로 갑니다.
(2023) 둔촌주공 또 다른 갈등 예고? 갈등이 생기겠지만 정부가 잘 정리해줄 것입니다. 둔촌주공 무너지면 건설사, 시행사 그리고 금융권 등 그 영향이 너무 크고 더 나아가 경제가 휘청거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023) 추천추-3 대현 대현이 뭐하는 회사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패션 업종 같은데 여성복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재무제표 괜찮고 배당도 주고 나름 저점 잘 잡아서 분할로 조금씩 매수하다 보면 나름 괜찮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얼마에 들아가고 얼마에 매도하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제가 여기에 추천하는 주식들은 재무제표 상에서 크게 변동이 있지 않는 한 계속 들고 가는 주식입니다. 각자 수익률에 맞춰 분할매도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대현은 제가 2019년 7월 18일 2620원 분할매수 시작하면서 좀 어느정도 오르면 분할매도 하면서 수익실현하고 좀 떨어지면 다시 매수시작하고 이렇게 하면서 배당도 받고 참 괜찮은 회사입니다^^
(2023) 전 세계가 부동산 거품 붕괴 공포 개인적으로 조선일보 기사는 딱히 좋아하지는 않지만 나름 분석기사는 좋은 내용들이 많습니다. 이 기사가 나타내고자 하는 내용은 앞으로 부동산 폭락은 이미 확정되었고 거기에 각국 정부가 정책 운용의 묘를 잘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주식과 부동산 같은 자산들의 특징은 급하게 오르면 (코인은 자산도 아니고 아무것도 아님) 급하게 강하게 떨어지고 때에 따라서는 전저점을 돌파하면서 떨어지는 경향이 강합니다. 지금의 부동산 폭락 상황에 영끌한 사람들에게 몇몇 유튜버와 언론들의 잘못은 과연 없었는지 생각을 합니다.
(2023) 깜깜이 분양 조심 우리가 편의점에 가서 눈을 가리면 물건을 제대로 구매를 할 수 있을까요? 잘못 구매하면 흑우되는 것은 한순간이고 경제적 손실이 예상되며 대출을 받았다면 평생 금융노예로 살 수도 있습니다. 정말 조심하고 확인하고 또 확인하며 심사숙고 하면서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ps) 역시 대한민국은 부동산 공화국 맞습니다.
(2022) 원리금 상환 부담 확대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가계 특성별 비교 2022년 12월 한국은행에 게재된 자료입니다. 결국 DSR로 인해 소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저처럼 일반인들에게는 너무 머리 아픈 내용이라 마지막 앞으로 어떻게 될지 핵심적인 것만 알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보고서 마지막 하단 첫번째 레퍼런스를 보면 유럽의 경우 DSR 상승시 외식, 숙박, 교육 등 비필수적 재화 및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를 줄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비슷하게 갈 것이라 생각이 들고 주식에 투자한다면 위에 언급한 업종들은 정말 잘 판단하셔서 들어가셔야 할 것 같습니다.
(2023) 부동산 붕괴. 한국=일본 같나? 2021년 기사입니다. 결과는 같을 수 있겠지만 그 결과의 과정은 다릅니다. 예를들면 다이어트 하려고 밥을 굶는 것 하고 돈이 없어 강제로 굶는 것 하고 결과는 같지만 과정은 다른 것과 비슷합니다. 후자가 상당히 매우 힘들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일본은 버블을 막기 위해 스스로 금리를 올렸고 한국은 인플레를 막기 위한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어쩔수 없이 올린 것 입니다. 일본은 스스로 금리를 올려서 결과적으로 서서히 디플레로 빠졌지만 한국은 미국이 올려서 결국 어쩔 수 없이 올리다가 경제불황과 고물가 두가지를 맞는 스태드플레이션 상황으로 갈 확률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