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71)
(2023) 비트코인 10년만에 최고치 ??? 헐 인터넷에는 수많은 뉴스가 있습니다. 뉴스는 팩트를 근거하고 거기에 기자의 생각이나 의견이 들어갑니다. 문제는 팩트를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내용이 됩니다. 이 기사도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독자로 하여금 어? 비트코인도 다시 전고점을 뚫고 올라가나? 나도 저 투기판에 들어가야 하나? 생각이 들지도 모릅니다. 이 차트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제 눈으로 보기에는 고점대비 반토막 이상 났습니다. 차트도 민스키 모델과 상당히 유사합니다. 그래서 저는 좀 피곤해도 인터넷 경제 뉴스는 일단 의심을 하면서 봅니다. 그래야지 호구되지 않을 가능성이 조금 높아집니다. 그러나 현실은 이렇게 해도 호구짓 하는 저를 바라보면서 그저 웃습니다. 이런 대한민국에서 하루하루 노동의 가치를 실현하며 열심히 살아..
(23년 1월 3일) 추천주-1 SNT중공업 한때 21% 상승 추천할 당시 가격은 8930원이고 한달이 좀 안되서 오늘 많이 올랐습니다. 한때 11300원까지 올랐는데 종가는 10710원입니다. 갑자기 급등해서 찾아보니깐 터키(튀르키예) 하고 뭔 계약을 했다고 합니다. 저는 사실 호재 뉴스에 일체 관심이 없습니다. 그래서 테마주 정치주 그런 것도 관심이 없습니다. 그저 돈 잘벌고 빚 많이 없고 배당주는 회사 잘 골라서 저점에 분할로 들어가는 것만 합니다. 뭐가 미래 유망산업이다? 뭐 그런것 신경 안씁니다. 그러한 테마나 섹터에 관련 정보는 주식이 주식인 분들이 분석하는데 굳이 제가 뒤늦게 들어가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습니다. 괜히 잘못들어갔다간 물리기 십상입니다. 어쨌든 제가 올린 추천주로 수익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ps) 저는 오늘 SNT중공업 물..
(2023) 개미들이 곱버스를 매수해서 주가는 상승했습니다. 인버스나 곱버스나 주가가 하락할때 수익을 얻는 ETF로는 제 경험상 몰빵이나 비중 높은 투자는 매우 위험합니다. 인버스 비중은 정말 많아야 50% 비중이 최고이고 그것도 환율, 수급, 선물, 거래량 등 여러 상황을 종합하면서 비중 조절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세력들은 결코 개미들이 돈을 벌게 놔두지 않습니다. 그래서 개미들은 주식을 하지 않는 것이 돈을 버는 것입니다. 개미들이 돈을 벌게끔 착각을 시켜놓고 빠져나오지 못하게 합니다 만약 주식을 한다면 배당주는 재무제표 좋은 종목을 잘 골라서 장기적으로 분할매수 하고 종목수도 한두개가 아닌 본인이 관리 가능한 범위내로 많을 수록 좋습니다. 그러면 내 포트내에서 몇몇 종목들이 매일매일 작지만 수익을 쌓아갈 수 있습니다. 이때 인버스를 일정 비율을 갖고 있으면 ..
(2023) 갭투자 자랑질 친구 .. 보기 싫었는데 이제 안나오겠네. 경제 기사에서 A씨 B씨 나오면서 예시를 드는 것을 많이 봅니다. 실제 상황을 말하는 것도 있겠지만 때에 따라서는 어? 진짜? 기자가 직접 취재하면서 쓴 것이 맞을까 ?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 전세 약세로 인해 갭 금액이 커진 것은 지금의 부동산 하락 시장에서 흔해빠진 사실이기에 위 기사는 나름 팩트를 갖고 쓴 것이 맞습니다. 어쨌든 남의 돈으로 쉽게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들을 저는 그렇게 좋지 않게 봅니다. 진짜 부자는 조용합니다. 자랑질? 그런 것 없습니다. 그리고 갭투자의 정확한 단어는 갭투기입니다.
(2023) 오피스텔왕, 300만원으로 LH '눈먼 돈' 167억 챙겼다 내용 읽다가 말았습니다. 그냥 기분이 매우 더럽습니다. LH가 바보인건지 오피스텔왕이 똑똑한건지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아무래도 오피스텔왕이 LH를 이긴 것 같습니다. 토지와 주택에 관해서는 LH도 정말 전문가 그룹일텐데 오피스텔왕 같은 일반인한테 저렇게 당하는 것이 이해가 안됩니다. 법의 헛점을 노리면 그럴수도 있겠지만 ....쩝
(2023) 다산신도시 3개 아파트 실거래가 하락 (-20~-40%) 어떤 유튜버가 다산신도시 35% 하락했다고 하길래 좀 찾아봤습니다. 이 기사는 2021년 7월 기사인데 다산신도시도 10억 클럽 가입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산신도기 3개 아파트 실거래가를 호갱노노에서 찾아봤습니다. 최고가 11억 2000 -> 8억 (-29% 하락) 최고가 10억 9500 -> 8억 (-27%하락) 최고가 10억 3500 -> 6억 4000 (-39%하락) 3개 아파트 평균 -32% 하락을 했습니다. 다산신도시 아파트 실거래가 하락 이야기는 뉴스에 잘 나오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다른 기사 쓸 내용이 너무 많아서 그럴 것이라 생각하겠습니다. ps) 다산신도시 하면 택배 갑질이 먼저 떠오릅니다. 쩝.
(2023) 폭락론자의 진리 - 하이먼 민스키 모델 제가 생각하는 부동산 1차 하락은 헬리오시티 입주전인 2017년 전후였던 것 같습니다. 물론 그때를 하락 보다는 조정이라 생각이듭니다. 민스키 그래프로 봐도 1차 하락은 미비합니다. 그리고 코로나로 인한 저금리로 정말 저점대비 3배는 평균 상승을 한 것 같습니다. 민스키 그래프로 보면 새로운 논리 탄생입니다. 영끌5적(누구인지는 잘모르지만)과 비슷한 부류의 사람들이 서울아파트 불패라고 떠들고 공급부족이며 과거 사례를 통해 고금리에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던 것들이 생각이 납니다. 지금은 2차 하락을 제대로 맞고 있고 정부의 각종 규제완화로 반등의 기미가 살짝살짝 보입니다. 민스키 그래프로 보면 현실부정 하면서 다시한번 희망회로를 품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반등에 성공한다고 해서 고점을 절대로 뚫지는 ..
(2023) 과열된 노동시장에 관해서... 최근 이 화두로 많은 생각을 하고 이해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제가 참 멍청해서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과열된 노동시장이 임금상승을 부추겨 고물가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과열된 노동시장=저임금 노동시장 저임금 노동시장인 월마트나 맥도날드에서 더 높은 임금을 주더라도 고용을 한다는 것은 그만큼 상품의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지금은 비용상승 인플레이션으로 많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들지 않으면 쉽게 해결이 안됩니다. 즉 과거 우리나라 80-90년대 중반에 수요가 폭발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그게 좋았는데 그 이유는 내 소득도 올라갔고 내 소득인 올라간만큼만 즉 대출없이 소비가 되기 때문에 10%대 고금리인 상황에도 우리나라 경제가 괜찮았습니다. 즉 초과수요 인플에이션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