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아파트 (경매)

(64)
(2023) 서울아파트 경매 (23년 3월 10일) 2022년 7월 신건 25 유찰1회 24 유찰2회 10 유찰3회이상 7 2022년 12월 25일 신건 34 유찰1회 83 유찰2회 63 유찰3회이상 26 2023년 1월 12일 신건 16 유찰1회 73 유찰2회 48 유찰3회이상 22 2023년 1월 31일 신건 49 유찰1회 60 유찰2회 46 유찰3회이상 19 2023년 2월 18일 신건 28 유찰1회 53 유찰2회 36 유찰3회 19 2023년 2월 28일 신건 30 유찰1회 51 유찰2회 44 유찰3회 17 2023년 3월 10일 신건 67 유찰1회 50 유찰2회 42 유찰3회 18 이번 서울아파트 경매의 특이 동향은 신건이 10일전 보다 무려 2배이상인 67건이 등록되었습니다. 나머지 유찰1-3회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신건 67건은 작년말 올해초..
(2023) 서울아파트 경매 (23년 2월 28일) 2022년 7월 신건 25 유찰1회 24 유찰2회 10 유찰3회이상 7 2022년 12월 25일 신건 34 유찰1회 83 유찰2회 63 유찰3회이상 26 2023년 1월 12일 신건 16 유찰1회 73 유찰2회 48 유찰3회이상 22 2023년 1월 31일 신건 49 유찰1회 60 유찰2회 46 유찰3회이상 19 2023년 2월 18일 신건 28 유찰1회 53 유찰2회 36 유찰3회 19 2023년 2월 28일 신건 30 유찰1회 51 유찰2회 44 유찰3회 17 앞으로 10일 간격으로 서울아파트 경매동향을 올리겠습니다. 한달전 상황과 비교하면 신건 경매는 많이 줄었습니다. 시중 아파트 가격이 고점대비 -20%대에서 초급매라 경매로 넘어가기 전에 거래가 되는 것 같습니다. 대신 유찰1회에서는 거래가 지지..
(2023) 2030대 경매시장으로 쏠리고 있는 것을 보면서.. 2030이 이번에는 경매로 많이 갔습니다. 도대체 2030을 선동하는 세력들은 누구일까요? 아니면 2030은 스스로 단체로 그렇게 행동하는 것일까요? 20-21년 아파트 급등기때 2030이 영끌해서 매수를 했고 지금은 대충 잡아도 고점대비 평균 -20% 하락을 했을 것입니다. 여기에 주식과 코인도 예외는 아닐 것입니다. 코로나로 인한 저금리로 주식과 부동산 코인이 급상승기일때 내가 아는 주변 2030들은 자주 이들 자산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것을 봤습니다. 지금은 조용합니다. 수익을 내서 조용한건지 손해를 봐서 조용한건지 알 수 없습니다. 저도 2030때 뭔가 참 불안했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많이 찾아보고 많은 시도를 했지만 결국 어떻게 보면 보이지 않는 손들에 의해 그들의 의도에 맞춰 춤을 췄..
(2023) 서울아파트 경매 (2월 18일) 2022년 7월 신건 25 유찰1회 24 유찰2회 10 유찰3회이상 7 2022년 12월 25일 신건 34 유찰1회 83 유찰2회 63 유찰3회이상 26 2023년 1월 12일 신건 16 유찰1회 73 유찰2회 48 유찰3회이상 22 2023년 1월 31일 신건 49 유찰1회 60 유찰2회 46 유찰3회이상 19 2023년 2월 18일 신건 28 유찰1회 53 유찰2회 36 유찰3회이상 19 아파트 신건 경매가 많이 줄었습니다. 즉 이것은 시중 급매물이 빠르게 소진되어서 경매로 넘어가지 않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유찰 1회 및 2회 물건도 줄었지만 그 강도는 신건보다 약합니다. 보통 유찰 1회가 감정가 20%입니다. 고점대비 -20%하락한 물건들은 시장에 많이 있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굳이 복잡한 경매시장..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2022년 7월 신건 25 유찰1회 24 유찰2회 10 유찰3회이상 7 2022년 12월 25일 신건 34 유찰1회 83 유찰2회 63 유찰3회이상 26 2023년 1월 12일 신건 16 유찰1회 73 유찰2회 48 유찰3회이상 22 2023년 1월 31일 신건 49 유찰1회 60 유찰2회 46 유찰3회이상 19 지금 서울아파트 경매는 신건이 보름보다 3배 증가를 했고 유찰1회 건수가 조금 떨어졌습니다. 이것은 지금 신규로 경매로 진입하는 아파트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감정가 대비 평균 20% 저렴한 유찰 1회에서 거래가 되고 있어 소폭 감소하고 있습니다. 보통 경매는 몇달전 시장에서 팔리지 않는 물건들이 나오니깐 아직은 서울아파트 하락 분위기는 과거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일부 언론에서 “꿈틀” 이라는 말..
(2023) 서울 아파트 경매 1월 12일 2022년 7월 신건 25 유찰1회 24 유찰2회 10 유찰3회이상 7 2022년 12월 25일 신건 34 유찰1회 83 유찰2회 63 유찰3회이상 26 2023년 1월 12일 신건 16 유찰1회 73 유찰2회 48 유찰3회이상 22 지금 이 수치 추이를 보면 경매가 어느정도 진정세 국면에 들어갔습니다. 아마도 윤통의 부동산 규제 완화의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경매가는 아마도 감정가 같은데.. 신건이 100% 유찰1회 80% 유찰2회 64% 유찰3회이상 11-51% 서울 아파트가 대체로 고점대비 한 -20~-30% 하락한 단지가 많기에 감정가 대비 64%인 유찰 2회짜리 물건을 잡으면 괜찮을 것 같아서 그런지 그쪽 물건 개수가 좀 줄었습니다. 그런데 3회 이상은 아직 줄이지는 못했습니다. 거의 반토막..
2022년 서울아파트 경매 증가 오래간만에 글을 씁니다. 이글은 올해 7월 말에 쓴 글인데 이때 서울아파트 경매건수는 신건 25 유찰1회 24 유찰2회 10 유찰3회이상 7 반년도 안된 12월 말 서울아파트 경매건수는 신건 : 24➡️34 유1회 : 24➡️83 유2회 : 10➡️63 유3회 : 7➡️26 신건은 조금 늘어났고 유찰건수는 4-6배 늘어났습니다. 신건이 유찰보다 많이 늘어나지 않는 것은 경매에 넘어가지 않으려고 급매 및 초초급매로 처분을 하고 있고 이것은 아파트 하락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유찰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는 아파트 하락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내년이나 내후년에는 다시 오를 기대감으로 버티고 있는데 금리가 높아져 유동성 함정에 빠진 상태입니다. (전세보험으로 인한 전세금 반환 청구당함) 10-12월 신건 경매건수가..
2022년 서울 아파트 하락 신호 - 1 (경매) 언론에서는 맨날 폭락이니 하락이니 연일 공포팔이를 하고 있지만 실제로 동네 아파트 가격은 그렇게 많이 안떨어졌습니다. 이번 서울 아파트는 신건 경매물건 증가가 어느정도 나타나야 대세하락의 추세를 따라갈 것입니다. 아래에 있는 표에서 신건 경매건수를 보시면 아직도 20건대에 있습니다. 제 경험상 문재인 취임전 2016년 2017년 약간의 금리상승기와 2018년 헬리오시티 입주와 맞물려서 신건 경매건수는 50-70건 정도 증가되었습니다. 그때 서울 아파트 가격이 약보합 내지는 살짝 떨어지는 수준이었죠. ps) 서울 아파트 하락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았습니다. 시작을 위한 여기저기 신호들만 포착되고 있습니다. https://news.v.daum.net/v/20220720133117072 [르포] "24개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