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아파트 (매매)

(136)
(2024) 주택구입부담지수 2024년 2분기 나왔습니다. 151에서 147로 좀 줄어듬->아파트 매수할까요?->상투 틀고 싶으면 하세요^^ 2007년 160 2008년 157 2009년 150 2010년 131 2011년 119 2012년 104 2013년 90 2014년 91 2015년 93 2016년 102 2017년 116 2018년 133 2019년 126 2020년 153 2021년 199 2022년 198 2023년 176 1분기 2023년 165 2분기 2023년 161 3분기 2023년 156 4분기 2024년 151 1분기 2024년 147 2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가 21-22년 최고점대비 30%좀 안되게 빠졌습니다. 그렇다고 지금 매수 들어가면 비싸게 들어가는 것이 됩니다. 코로나 같은 유동성 폭발로 인한 역대 최저금리는 나오지 말았아야할 샷입니다. 그리고 올해 3분기는 정부의 dsr 2단계 연기로 인해 또 한번 영끌들이 들..
(2024) 서울아파트 가격은 어디까지 하락해야지 거품이 빠졌다고 말할 수 있을까? -> -20~-40% 하락이면 매수 강추합니다. 대한민국 아파트는 주거로서 훌륭한 기능을 하지만 투기자산으로서 역할을 합니다.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그 유동성이 산업계 전반으로 흘러가는 것이 아닌 부동산/아파트 투기에 흘러 들어가서 짧은 시간에 가격이 오릅니다. 아래 그래프는 인스타 아파트랩에서 가져왔고 정리가 깔끔하게 잘 보여주고 있어서 설명하기 좋습니다. 제가 확실히 기억하는데 2017년 문재인이 대통령이 되고서 과거 진보 정부인 노무현 대통령때 집값 급등 기대감이 전체적으로 반영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 아파트 가격이 막 오르고 있는데.. 2018년 미중 무역전쟁이 터지면서 기준 금리가 2019년에 1.25까지 하락하면서 시중에 많은 유동성이 공급되었습니다. 그 뒤로 코로나라는 역대급 초저금리를 통해서 서울아파트 가격은 급등을 했습니다. ..
(2024) 2024년 8월 서울아파트 거래량 6067건으로 7월대비 32% 거래량 급감 -> 9월은 8월대비 70% 급감 개폭락 거래량 예상. 국토부 자료와 서울시 자료는 좀 다른가요?ㅋ 국토부 7월 : 9518 서울시 7월 : 8872 국토부 8월 : 7609 서울시 8월 : 6067 거래량 20% 급감이냐? 32% 급감이냐? 둘중 누가 구라를 치는 것인지 아니면 바보같이 본인 월급값 제대로 못하는 것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인공지능한테 물어봤습니다. 왜 차이가 나는지... 차이가 나는 이유가 있지만 같은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을 두고 저렇게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은 매우 잘못된 것입니다. 부동산 투기, 갭투기, 부동산 카르텔 입장에서 보면 거래량이 좀 덜 줄어든 국토부 자료가 좋을 것입니다. ㅎㅎ 어쨌든... 12년치 서울아파트 가격 및 거래량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아파트 가격은 추세선을 보수적으로 그어도 대략 전고점 대비 40% 하락..
(2024) 서울아파트 9월 거래량 급감중 -> 여보.. 우리가 왜 꼭지에 6-8월에 샀을까? ㅠ.ㅠ -> 거래량 감소뉴스 잘 안나와요 ^^ 번개님이 다음 경부소 카페에서 항상 꾸준히 서울아파트 거래량을 올려주시고 있습니다. 9월은 정말 말도 안되게 줄었습니다. 쇼킹부동산에서도 올리는데 보시면 8월부터 거래량 급감이고 9월은 폭감임을 알 수 있습 니다. 결국... 결국 8월 거래량은 6000건은 넘기기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9월 거래량은 지금 폭감중인데.. 이 거래량을 쭉 따라가면... 작년 11월 또는 12월 거래량을 따라갈 것 같습니다. 대략 2000건 수준인데.. 번개님 작년 11월 거래량 24일자 기준 시계열 데이터를 보면 예측 가능합니다. 아마 어쩌면 2000건을 못 넘길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대한민국 언론들은 이 사실을 기사화 시켰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구글에서 서울아파트 거래량으로 기사 검색을 하면 제대로된 기사는 4개입..
(2024) 래미안 원베일리 30평 최고가 35억에서 32억 2000 실거래 -> 2억 8천 하락. 저번에도 그렇고 뉴스에는 나오지 않음. 언론의 역할은 공정해야 합니다. 어떤 주관적인 이해 득실에 따라 기사의 내용을 왜곡하는 것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 나오는 뉴스들은 과연 공정 보도를 하는지 의문이 듭니다. 특히 부동산 뉴스 만큼은 왜 그렇게 상승에는 열광적으로 뉴스를 내보내고 하락에 대해서는 잘 못보는지 꿀먹은 벙어리 마냥 조용합니다. 이런식으로 나오면 누구라도.. 어? 요즘 부동산 뉴스 이상하다.. 라고 생각 하는 것이 정상일 것입니다. 엊그제 올린 래미안 원베일리 10-13억 폭락한 내용도 나오지 않고 있으니 참 뭐라 할 말이 없습니다. 그래서... https://cocas95.tistory.com/m/1060 (2024) 래미안 원베일리 10억, 12억 폭락-> 기자님들 서울아파트 폭락 기사는 스킵하시나요? ㅋ -..
(2024) 래미안 원베일리 10억, 12, 13억 폭락-> 기자님들 서울아파트 폭락 기사는 스킵하시나요? 공정하셔야죠 ^^ 대한민국 뉴스는 이상합니다. 서울아파트 상승 및 전고점 돌파 뉴스는 다들 서로서로 올리려고 난리인데 하락/폭락 뉴스는 조용합니다. 그냥 꿀먹은 벙어리 마냥 조용합니다. 단지 아래 진보 성향의 뉴스에서만 보도가 되고 나머지 수많은 뉴스에서는 일절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오히려 상승했다는 뉴스가 나오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 대한민국 아파트 뉴스입니다. 4일전에 국평거래가 상위 7개가 래미안 원베일리 라고 뉴스를 내보내고 있습니다. 게다가.. 중앙일보는 한술 더 뜹니다. 중앙일보 김원 기자님께 아실 어플을 소개 하고 싶습니다. 8월 16일, 19일에 각각 12억, 10억 폭락한 실거래가 등록이 되었는데 어제 날짜로 60억 찍었다고 기사를 올리면 편집장에게 졸라게 혼날 상황이고 심지어..
(2024) 여보! 우리 서울아파트 꼭지, 상투에 산 것 같아 -> 서울 아파트 매물 다시 쌓임 -> 상황파악 안된 일부 집주인 호가 올림 ㅋ 저도 한번 기자들 뉴스 제목 부동산 심리 자극적으로 뽑는 것 흉내한번 내봤습니다. (나머지 글 완성은 오늘중으로..^^;) 경제에서 수요와 공급의 법칙은 기본입니다. 수요>공급 : 가격상승 수요
(2024) 40대 아파트 매수가 30대를 넘어섰다는 기사를 보면서 : 과거 아파트 하락론 관점인 쇼킹부동산의 마차이론이 생각. 역시나 영상을 찾기가 쉽지 않았는데... (저는 확실히 봤습니다.) 쇼부가 과거 영상을 지운 것이 아닌지 생각은 듭니다. 지금은 완벽하게 상승론자 모습이기 때문에 과거에 하락론 관점에서 올린 영상들이 거북스러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은 합니다. 저는 그 영상을 보면서 어느정도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이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 당시 쇼킹부동산이 올렸던 그림과 영상을 최대한 기억해서 써보겠습니다. 제가 암기력은 좀 딸리지만 이해만 잘하면 생각보다 오래 기억이 남습니다. ㅎㅎㅎ 마부는 마차를 끌 때 한마리만 죽어라 채찍질 합니다. 여기서 마부는 정부이고 채찍질은 규제완화. 첫번째 채찍질 당하는 말은 다주택자와 부동산 카르텔 및 부동산 자산가입니다. 정부는 이들에게 채찍질 하면서 주택시장을 이끌어달라고 신호를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