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대한민국

(124)
(2023) 한중일 -> 한일중 그리고 멈추지 않는 일본 독도 영육권 주장 & 우리나라 독도 관련 예산 삭감. 우리는 어디로 가나?? 오늘 출근하면서 뉴스를 듣는데 갑자기 생소한 단어가 제 귀를 뚫고 들어왔습니다. 보통 지금까지 거의 한중일로 말하고 들었던 것 같은데 한일중으로 뉴스에서 말해서 그 단어가 제 귀 고막에 자극을 줬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의장국 순서니 순서는 의미 없다니 하는 뉴스가 있지만 역시나 윤석열 정부 에서 급격하게 친해진 일본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보수 정부 들어오면 일본과 친해지고 진보 정부 들어오면 북한과 친해지는 것이 하루이틀 된 것 도 아니기에 그럴려고 하지만 역시나 쪽발이 나라의 태도가 참 밥맛 떨어지게 합니다. 그래도 윤석열 정부가 이 정도까지 양보를 했으면 일본도 어느정도 따라와야지 오히려 독도 영유권 홍보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처구니 없는 것은 우리나라..
(2023) 윤미향 의원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100주년 (조총련 포함) 참석 사건을 보면서.. 홍범도 장군님 흉상 이전 논란에 이어 윤미향 의원의 조총련이 참여한 행사에 참가를 해서 논란을 추가시키고 있습니다. 윤미향 의원은 위안부 후원금 횡령 의혹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데 여기에 조총련 문제까지 나오니 참 여러가지로 할 말이 없지만 그래도 몇자 적어 보겠습니다. 민단에서도 행사가 있었던 것 같은데 굳이 왜 조총련이 참석한 곳에 갔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조총련은 북한을 대변하는 일본내 단체인데 왜 대한민국 국적이고 국회의원이 거기에 간 것이 제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불능입니다. 조총련이 참석한지 몰라서 갔다면 무지이고 알고 갔다면 이것은 여야를 떠나 충분히 국보법 으로 처벌을 받아야 합니다. 일본은 우리가 북한과 전쟁을 하든 통일을 하든 북한이 정리가 되면 두번째 적이 될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은 북한..
(2023) 이재명 대표님의 단식. 그리고 텀블러와 티스푼 지금 정부 여당을 견제하는 것이 야당이 할 일 이고 그래야만 권력의 독점으로 인한 폐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야당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뭔가 꿀리는 듯한 느낌을 받는 것이 이재명 대표님의 사법 리스크 때문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많은 말을 하고 싶지만 줄이겠습니다. ps) 단식할때 생수병만 있으면 됩니다. 텀블러와 티스푼은 의심만 낳을 뿐입니다.
(2023) 밤에 실내로 이동하는 이재명 대표님의 단식을 보면서... 저는 정치 성향이 극 보수였다가 박근혜 대통령을 통해 보수의 민낯을 본 이후로 중도 진보로 바뀌고 문재인 전 대통령 한테 투표를 했습니다. 그러다 문통이 정치를 너무 못해서 정말 할 수없이 현 대통령님에게 투표를 했습니다. (물론 이재명 대표님의 사법리스크도 한몫) 이재명 대표님 단식은 모든 이들이 보는 앞에서 하루 24시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경호 프로토콜상 밤에 실내로 이동하시면 단식이 아니라고 국민들은 의심합니다. (혹시 실내에서 뭐 먹는거 아냐? 그렇게 하면 단식투쟁이냐? 라고요...) 제가 과거 단식을 해봤는데 첫째날은 그냥 버틸만 했지만 둘째날 부터 많이 힘들었습니다. 제대로 된 단식을 하면 아마도 내일부터 서서히 좀 힘들것이고 다음주 주말 정도 되면 많이 심각할 수도 있을 것입니디. 단식..
(2023) 오늘은 경술국치일.. 일본을 다시 생각하고 경각심을 다져 봅니다. 경술국치는 아래 네이버 지식 백과를 통해서 확인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초딩때는 초등학교가 아니라 국민학교 였고 경술국치일이 아니리 한일 합방으로 배웠습니다. 국민학교의 국민은 황국신민 (일왕을 위한 일본 신민) 이라는 말이 있는데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어쨌든 오늘은 113년전 1910년에 일본한테 치욕을 당한 날입니다. 제가 유일하게 일본에서 나온 것들 중에 딱히 좋아하는 것이 없지만 일본 애니 만큼은 오래전 부터 봐서 그런지 아직도 개인적인 시간이 나면 취미로 정주행 식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 제가 경술국치일을 논할 자격은 없지만 그래도 저는 일본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북한도 좋아하지 않습니다. 한국 근현대사에서 대대적으로 침략/침공을 한 나라가 북한하고 일본이기 때문입니다. 항상..
(2023) 이재명 대표님의 일제 샴푸를 보면서.. 저는 오래 살고 싶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유명한 사람들이 과거에 했던 말과 행동이 왜 그렇게 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 대선후보 시절때 탈모 공약 했을때 응? 뭐지? 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저도 나이가 들어 자꾸 머리가 빠져 오.. 좋은 공약이네.. 생각을 했습니다. 결국 법카로 일제 샴푸를 산 것이 공익제보자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많은 말을 하고 싶지만 마무리 하겠습니다. (기록 차원에서 글을 남기는 것이라..) https://cocas95.tistory.com/m/544 (2023) 이재명 대표님의 안면인식장애를 보면서..정치글을 쓰지 않으려고 하는데 요즘 부쩍늘고 있습니다. 길게 안쓰겠습니다. 길게 쓰면 하고 싶은 말이 막 나올 것 같아서입니다. 이재명 대표를 생각하면 그냥 안타깝다는 생..
(2023) 후쿠시마 오염수 8월 24일 방류 시작... 이번 기회에 국내산 비싼 생선 좀 먹어볼까 합니다. 후쿠시마 오염수가 오늘부터 방류를 시작합니다. 저는 민주당의 친북, 친중도 싫고 국민의힘 친일도 싫지만 친미는 우리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해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정치 특성상 민주당과 국힘당 번갈아 가면서 정권을 잡아야지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이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관해 우리나라가 대응할 카드는 별로 없습니다. 그저 다 좋은데 후쿠시마를 비롯한 일본산 수산물 수입만큼은 꼭 지켜줬으면 합니다. 사실.... 오염수는 돌고 돌아 우리나라에 5년 뒤에 영향을 준다고는 하지만 환태평양은 지질 활동도 활발 하고 깊이 몇천 m나 되는 지구의 해구 대부분이 있습니다. 그냥 상식적으로 봤을때 농도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갑니다. 방사능이 높은 바닷물이 낮은 물 쪽으로 끊..
(2023) R&D 예산 삭감에 대해서.. 거꾸로 가는 (?) 대한민국 과학 정책. 아직 확실히 예산 삭감이 정해진 것이 아니기에 뭐라 단정지어 예기할 수 없지만 그래도 몇 문장 적어보겠습니다. 물론 정부가 보는 과학계 카르텔 요소가 분명있고 카르텔 없다고 100% 장담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정부의 역할은 카르텔 요소를 발견하고 적발하고 처벌해야지 과학 예산 삭감을 하는 것은 절대 반대입니다. 얼마든지 찾으려고 들면 카르텔 요소를 쉽게 발견 할 수 있다고 자부합니다. 그렇게 과학 분야에 존재하고 있는 카르텔에게 불이익을 주고 연구비를 회수하는 것으로 정부 역할은 충분합니다. 오히려 과학 카르텔 때문에 예산을 줄인다는 것은 벼룩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태우는 우를 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학에 지금보다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해서 과학 선진국으로 한걸음 더 나아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