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01)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4) 45억내고 곰팡이랑 살 판"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결로 하자 논란...뉴스에 거의 안나온 기사를 보면서.. 이 기사를 구글과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뉴스로는 잘 나오지 않습니다. 물론 반포 땅값이 비싸기 때문에 아파트값 비싼 것 인정합니다. 비싼만큼 잘 짓고 하자 없이 만들어야 하는데 결로라니... ^^; 저는 사실 결로 현상을 40년전 우풍이 있는 오래된 집에서 살면서 경험을 하고 그 이후로는 잘 본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몇년전 부터 요즘에 근래 부쩍 아파트 및 빌라 결로 현상이 심하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어쩌면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는 반포 대장주를 뛰어넘어 대한민국 아니 전 우주적 대장주 아파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결로가 발생 해서 곰팡이 핀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대장주 아파트가 저 모양인데 다른 아파트는 멀쩡하다고 생각하는 것 보다 혹시 우리 아파트도 하자가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는 것이.. (2024) 인구감소지역 추가 주택 구입시 1주택자 유지 그리고 전월세 세입자가 살던 주택 매입하면 취득세 감면..ㅎㅎ세상은 요지경속이네요 ^^ 정치인들은 선거에서 이겨야 합니다. 선거에서 지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합법적인 범위 안에서 무슨 수를 써더라도 상대방을 이겨야 합니다. 지금 정부의 부동산 정책들이 연착륙을 위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역시나 과연 언제까지 방어를 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대한민국은 자본주의/시장논리에 따라 흘러가야 하는데 때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을 보면 그저 한숨이 나옵니다. 서민과 취약계층을 위한다는 명분은 있습니다. 오늘 나온 뉴스 제목들을 보면 어디까지 버틸수 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인구감소지역에 추가 주택을 매수해도 1주택자 유지를 해주는 것이 세컨드홈 개념이라고는 하지만 진짜로 그 개념으로 집을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 대부분 세컨드홈에 전월세를 주지 않을까요? 나중에 세부 지침이 나.. (2024) 부산대병원 vs 서울대병원. 누구 말이 옳을까요? 이재명 대표님 헬기 타고 전원에 대해서.. 어느쪽 말이 맞을까요? 부산대병원은 가족 뜻 존중했다고 하고 서울대병원은 부산대병원에서 요청했다고 하고 판단은 논객님들이 각자 해보시는 것도 재미가 쏠쏠할 것입니다. ^^ 제가 여기서 판단을 내릴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신문에 나온 단편적인 정보만으로도 합리적인 논리 전개를 할 수는 있겠지만 하고 싶지 않네요. ps) 진짜 말하고 싶지만 꾹 참겠습니다. ㅠ.ㅠ ps) 50년 넘게 살면서 수많은 시험을 봤지만 저번 선거처럼 그렇게 어렵고 어려운 시험은 처음 이었습니다. (2024) 저출산으로 혹시 대한민국이 다시 망한다면 그 원인은 부동산/사교육 카르텔에 있을 것입니다. (1편) 심교언 국토연구원장님이 계신 국토연구원에서 제대로 된 보고서를 냈습니다. 출산에 영향을 주는 1위가 집값이라고 합니다. 집값 10% 뛰면 출산율이 0.02명 감소하다고 했으니 그냥 단순히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고점기준 했을때 제가 05년도에 아파트 매수가 보다 무려 5배가 올랐습니다. 참고로 지금은 3배로 낮아졌습니다. 집값이 10% 하락시 출산율이 0.02명 증가 한다고 가정하면 100%면은 0.2명 이고 5배 증가 했으니깐 1명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결국 18년동안 집값이 5배 상승을 해서 합계 출산율이 0.78명인데 경제/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집값 상승도 있을 것입니다. 위에서 계산한 1명 까지는 아니어도 역대 정부가 집값 잡는 노력을 했다면 0.5명 출산율 증가를 더해서 지금은 1.28명이 나왔을.. (2024) 격세지감 (隔世之感) ; 95년도 병장월급 12000원 -> 23년도 병장월급 125만원. 무려 104배 상승.. 헐^^; 거의 30년만에 이 정도 상승을 보여줍니다. 화폐가치의 하락이 큰 것인지 제가 군대있을때 월급이 똥값인지 알 길은 없지만 어쨌든 요즘 군대갈만 할 것 같습니다. 제가 군대 26개월 있었는데 일병 월급 기준 대략 1만원 잡고 한푼도 쓰지 않고 모아봤자 겨우 26만원입니다. 지금은 한 16개월 갔다오는 것 같은데 일병 월급 80만원 기준 한푼도 안쓰고 모으면 1300만원 남짓입니다. ㅎㅎㅎ 라떼 이야기라 치부하실지 모르겠지만 여기저기 듣기로는 요즘 군대 참 좋아진 것 같습니다. 가혹/구타행위도 많이 없어진 것 같고, (맨날 저녁 9시 결산 시간에 그냥 땀으로 목욕을 했고 온 몸이 욱신거리고 참 힘들었습니다.^^;) 군대식사도 많이 좋아진 것 같고, (가끔 음식 지원 나가면 식당 관리하는 중사하고 식자재 납품.. (2024) 제발 주택구입부담지수 80-120에 오면 매수 적극 권장입니다. 지금 서울아파트 매수하시면 🐕🐯9 이고 상투입니다. 각 연도별 4분기 기준입니다. 출처는 주택금융통계시스템입니다. 2007년 160 2008년 157 2009년 150 2010년 131 2011년 119 2012년 104 2013년 90 2014년 91 2015년 93 2016년 102 2017년 116 2018년 133 2019년 126 2020년 153 2021년 199 2022년 198 2023년 165 2분기 2023년 161 3분기 과거 데이타를 쭉 보면 아파트 적극 매수할 시기는 2011-2019년이 가장 좋았던 것입니다. 저 시기는 미국발 금융위기, 남유럽발 재정위기, 미중 무역전쟁 처럼 굵직한 이슈들이 많았고 그로인해 유동성을 풀어 경기 부양을 했습니다. 그로인해 풍부한 유동성으로 아파트값도 우상향 했지만 코로나의 유동성은 역대급이었습니다... (2024) 굳이 헬기로 이재명 대표님 서울대병원 이송하는 것을 보면서.. 헬기 타고 치료 받으셨으니 빠른 쾌유가 되시길.. 어제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을 보고 좀 어? 하는 내용이 부산대병원에서 계속 치료를 받지 굳이 서울대병원 헬기타고 갔을까? 하는 것입니다. 부산대병원은 상처 1cm로 처리 못하는 아주 무능한 병원일까요? 부산대병원이 최고 외상센터라고 하는데..^^; 응급환자면은 어떻게서든지 가까운 병원에서 치료받고 입원하고 그래야 하는 것이 상식인데 굳이 헬기타고 권역외상센터가 없는 서울대병원 까지 가야 할 이유를 국민들이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고 이해를 해주게끔 하는 것이 거대 야당 대표님께서 답변 해주셔야 하지 않을까요? 제발 현 정부를 견제할 수 있는 유일한 정당은 민주당인데 자꾸 대표님때문에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것 같아 근심이 큽니다. 제발 제 티스토리에서 이재명 대표님 이야기 그만 언급하고 싶은 마음뿐.. (2024) pf부실 태영건설로 끝날까요? 제발 지금 아파트 매수/분양 거들떠 보지 마시길.. 기다리면 싸집니다. 제발요.. ㅠ.ㅠ https://cocas95.tistory.com/m/173 (2023) 건설사 부채비율을 보면서정말 어마 무시한 부채를 짊어지고 있습니다. 저 기사는 작년 11월에 나왔으니 지금은 더 심하면 심할지 덜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스웨덴 주택위기를 보더라도 어쩌면 정부가 모든 것을 싹다 cocas95.tistory.com 제가 작년 2월초에 올린 글입니다. 저기에 나온 건설사 이름을 다시 언급을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J 중공업, 태영건설, HL 디앤아이한라, sk에코플랜트, 신세계건설, 두산건설.. 위에 언급한 건설사들 부채비율이 200%가 넘고 이번에 터진 태영건설은 441%, HJ 중공업은 527% 였습니다. 작년 2월 기준.. 단순히 이 수치로 보면 다음 타자는 hj중공업이 된다고 예측하는 것이 ..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138 다음